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미지 화질 개선
- FTZ
- 한국 진출
- RegEnumKeyA
- LDAP
- 딥 러닝
- Challenge
- RegEnumKeyExA
- OSI 7계층
- hackerschool
- Kotlin
- 기초 C
- 해설
- 새로운 언어
- 사진 화질 개선
- C 언어
- Win32 apps
- 18.04
- EAPHost
- GDI+
- 풀이
- CISCO #TALOS
- 최신 버전
- 컴포넌트
- 프로그래밍
- Python
- Bionic Beaver
- S시리즈
- C언어
- Win32 #API
- Today
- Total
목록정보보안 (6)
하나 하나 알아가는 프로그래밍
Authentication : 네트워크에 액세스 하는 원격 사용자의 ID (식별자) 확인 그리고 사용자가 인가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Authorization : 인증된 유저에게 특정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차별적 권한을 할당하다. Accounting : 실행 시간 또는, 트래픽 기반 계정 관리와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의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량 모으고 기록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서비스 과정 동안의 사용된 서비스 타입, 시작 시간, 그리고 데이터 트래픽 포함한 사용자의 모든 작업을 기록한다.
키 싸기 또는 키 랩 구조는 암호 키를 캡슐화 (암호화)하도록 고안된 대칭 키 암호 알고리즘의 한 분류이다. 키 포장 알고리즘은 신뢰하지 않는 장치에 있는 키를 보호하거나, 신뢰되지 않은 네트워크 통신 구간에서의 키 전송을 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된다. 이 구조는 일반적으로 블록 암호와 암호화 해시 함수 같은 표준 바탕에서 가지고 만들어진다. 키 싸기는 키 캡슐화 알고리즘의 형성으로써 고려되어진다, 키 싸기를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대칭(공용 키) 키 캡슐화 알고리즘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예. PSEC-KEM) 키 싸기 알고리즘은 세션 키를 장기간 암호화 키로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는 유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82%A4_..

Level3 비밀번호 : can you fly? - FTZ는 해커스쿨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telnet으로 접속하여 공개 리눅스 사용법/명령어를 실전에서 익히는 FTZ와, 실제로 서버를 해킹해볼 수 있는 Level-Up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이번에는 FTZ 3번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앞 문제들과 마찬가지로 (telnet을 대신해서) Putty를 통해 FTZ 환경에 접속합니다. Hint 파일의 내용을 살펴보면 “autodig”라는 프로그램의 소스가 나오고, 코드 하단을 보면 more hints라며 적힌 곳에 - 동시에 여러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 문자열 형태로 명령어를 전달하려면? 두 가지의 힌트가 추가로 적혀 있습니다. 아마 이 “autodig”라는 프로그램과 제공된 힌트를 조합하여 문제를..

Level2 비밀번호 : hacker or cracker - FTZ는 해커스쿨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telnet으로 접속하여 공개 리눅스 사용법/명령어를 실전에서 익히는 FTZ와, 실제로 서버를 해킹해볼 수 있는 Level-Up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이번에는 FTZ 2번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과 마찬가지로 저번과 마찬가지로 (telnet을 대신해서) Putty를 통해 FTZ 환경에 접속합니다. Hint 파일의 내용을 살펴보면, “텍스트 파일 편집 중 쉘의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는데...” 라고 나와 있습니다. 보기에 Hint 내용은 당장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일단 level1 풀이에서처럼 이번에도 리눅스의 find 명령을 사용하여 level3의 권한으로 setu..

보안 분야별 문제를 제공하는 사이트인 Suninatas WEB 1번 문제입니다. WEB을 해봤던 분들이라면 문제 유형이 익숙하시고 난이도가 쉽기 때문에 바로 해결이 가능한 문제일 수 있겠지만, 저는 프론트 / 웹 쪽 관련 지식이 거의 전무한 상태나 다름이 없어 문제를 차분히 보면서 적절한(?) 구글 검색을 겸해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일단 처음에 저는 웨일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어, F12를 눌러 개발자 모드에 들어갔습니다. 혹시나 문제의 힌트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페이지 코드를 뒤져 보았지만 딱히 도움이 될 만한 정보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 다음에는 당연하겠지만, 화면에 떠있는 코드를 살펴보았습니다. 사이트 링크가 마지막에 asp로 끝나는 것을 보아 검색해보니 MS에서 개발한 서버 측 스크립트..
● OS 개발 공부를 왜 해야 할까? -개발 공부를 위한 양질의 자료가 많음 -구조와 원리가 복잡함 -지식의 퀄리티가 달라짐 -생애 첫 어셈블리어 프로그래밍 -구조적 프로그래밍을 이해하기 좋음 (잘라서 부분부분) -OS 잘하는 사람은 멋있음 OS를 배우게 되면, 실력적 경쟁력이 높아짐. ● OS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까? -대학교 강의 수강 -MOOC (coursera 등) -OS 서적 -OS 개발 서적 만들면서 배우는 OS 커널의 구조와 원리 64비트 멀티코어 OS 원리와 구조 ● OS 개발을 어떻게 시작할까? - OS를 아예 모른다면? (공부를 해보지 않았다면?) 커널 드라이버 공부 OS 개발 서적을 A-Z 다 따라해보기 Pintos를 이용해 개별 부분 개발 - OS를 어느정도 알고 있다면 스킵할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