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딥 러닝
- LDAP
- Win32 #API
- 한국 진출
- Kotlin
- FTZ
- 새로운 언어
- S시리즈
- 최신 버전
- hackerschool
- Python
- 18.04
- GDI+
- RegEnumKeyA
- CISCO #TALOS
- 이미지 화질 개선
- RegEnumKeyExA
- C언어
- 컴포넌트
- C 언어
- EAPHost
- Bionic Beaver
- Challenge
- 프로그래밍
- 사진 화질 개선
- OSI 7계층
- 해설
- Win32 apps
- 풀이
- 기초 C
- Today
- Total
하나 하나 알아가는 프로그래밍
[Cisco Talos] Threat Spotlight: Cyber Criminal Adoption of IPFS for Phishing, Malware Campaigns 문서 번역 본문
[Cisco Talos] Threat Spotlight: Cyber Criminal Adoption of IPFS for Phishing, Malware Campaigns 문서 번역
Metallic 2023. 6. 28. 15:42원문: https://blog.talosintelligence.com/ipfs-abuse/
The InterPlanetary File System (IPFS) is an emerging Web3 technology that is currently seeing widespread abuse by threat actors.
> IPFS는 현재 위협 행위자들이 광범위하게 악용하고 있는 새로운 Web3 기술입니다.
Cisco Talos has observed multiple ongoing campaigns that leverage the IPFS network to host their malware payloads and phishing kit infrastructure while facilitating other attacks.
> Cisco Talos는 IPFS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멀웨어 페이로드 및 피싱 키트 인프라를 호스팅하는 동시에 다른 공격을 용이하게 하는 여러 캠페인이 진행 중인 것을 관찰했습니다.
IPFS is often used for legitimate purposes,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for security teams to differentiate between benign and malicious IPFS activity in their networks.
> IPFS는 종종 합법적으로 사용되어, 보안 팀이 그들의 네트워크에서 양성 IPFS 활동과 악의적인 IPFS 활동 사이에서 구분하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Multiple malware families are currently being hosted within IPFS and retrieved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malware attacks.
> 여러 멀웨어가 현재 IPFS 내에서 호스팅 되고 있으며 멀웨어 공격의 초기 단계에서 검색됩니다.
Organizations should become familiar with these new technologies and how they are being leveraged by threat actors to defend against new techniques that use them.
> 조직은 IPFS와 같은 새로운 기술과 위협 요인을 방어하기 위해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DIUS 인증 서버 패킷 필드 관련. (0) | 2020.11.02 |
---|---|
Wi-Fi 6 (0) | 2020.10.06 |
TIME_WAIT 상태 (0) | 2020.09.28 |
wpa_supplicant (0) | 2020.09.25 |
EAPHost의 컴포넌트 (구성요소)들 (0) | 2020.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