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18.04
- C언어
- RegEnumKeyA
- Python
- 풀이
- 새로운 언어
- EAPHost
- Kotlin
- C 언어
- GDI+
- Win32 #API
- Bionic Beaver
- 해설
- 사진 화질 개선
- Challenge
- 프로그래밍
- LDAP
- FTZ
- CISCO #TALOS
- RegEnumKeyExA
- hackerschool
- 컴포넌트
- 최신 버전
- 이미지 화질 개선
- 한국 진출
- S시리즈
- OSI 7계층
- 딥 러닝
- 기초 C
- Win32 apps
- Today
- Total
하나 하나 알아가는 프로그래밍
3.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본문
저번 시간에 아주 간략하게 나왔던 자료형에 대해서 이번에는 좀 더 깊게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간단하게 C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자료형이란 무엇인지부터 짚고 넘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C언어에서의 자료형 (Data type)이란? 쉽게 말해 변수의 종류를 말합니다. 변수에 대해서는 저번 포스팅에서 짚고 넘어왔으니 따로 정리하진 않겠습니다. 대게 대부분 기본 자료형과 파생 자료형 두 가지로 분리하여 생각을 하게되는 데 기본이 되는 기본형을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기본형에는 앞서 배웠던 정수형 변수와, 실수형 변수를 떠올려보시면 됩니다. 어렵게 생각할 것이 전혀 없습니다. 이 두 가지가 아주 기본적인 기본형 자료형이며 이 밖에 나열형과 무치형이 존재하는 데 이 둘에 대해서는 깊게 들어가지 않고 이런 종류도 있다는 것 정도만 알려드리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정수형과 실수형의 크기와 범위는 아래에 각각 기재하였습니다.
<정수형>
- int : 부호가 있는 10진 정수 (4Byte)
- unsigned int : 부호가 없는 10진 정수 (4Byte)
- long long : 부호가 있는 10진 정수 (8Byte)
- unsigned long long : 부호가 없는 10진 정수 (8Byte)
<실수형>
- float : 단정도 부동 소수점 (4Byte)
- double : 배정도 부동 소수점 (8Byte)
이 두가지 타입 외에도 문자형과 논리형이라는 두 가지 종류도 존재를 합니다. 문자형에는 char이 해당되며, 논리형에는 bool이 해당됩니다. 차후에 자세하게 그리고 빈도 수 높게 사용을 할 것이므로, 여기서직접적으로 소개는 하지 않고, 위와 같이 개념적 설명만 아래에 덧붙여 기재해놓겠습니다.
<문자형>
- char : 아스키코드 (1Byte)
<논리형>
- bool : 논리값 (1Byte)
위에서 언급한 아스키 코드는 간략하게 말하면, 정보 전송을 위해서 미국표준협회에서 개발을 한 것으로, 알파벳과 아라비아 숫자, 그리고 특수문자를 표현하는 2진 코드 체계입니다. 아스키 코드표도 따로 구비가 되어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구글에 검색을 하시면 더욱 정확한 정보를 아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번외지만 꼭 말씀드리고 싶은 게 한 가지 있는 데 적어도 개발자로서 활동을 하실 거라면 검색 포털은 구글을 이용해주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네이버나 다음으로 검색을 하시면 정확하지 못하고 신빙성이 떨어지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변수명 지정에 대해서 설명드리고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개발을 하던 도중, 변수를 선언하고 싶어서 변수 이름 (index)을 지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이 불가능 한 것들이 있는 데. 이를 C언어 예약어라고 칭합니다. 이 예약어들은 C에서 이미 정의가 되어져 있는 것들이기 때문에 우리가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을 하고 싶더라도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이 밖에도 변수 이름을 작성하기 위해선 몇 가지 규칙이 있는 데 아래에 기재해둔 것을 꼭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변수 이름 작성 규칙>
1) 변수의 이름은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특수 기호 '_'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
2) 변수 이름은 알파벳 대소문자를 구분하며, 첫 글자에는 숫자를 사용할 수 없다.
3)시스템 예약어(연산자 및 라이브러리 함수 등)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C언어 예약어
여기까지 하는 것으로 하고 오늘 포스팅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에 참고 영상을 올리니 시청하면서 천천히 다시 한번 이해하시고 익히시길 바랍니다.
<영상은 '참고용'이며, 반드시 자신의 것으로 습득을 하셔야만 합니다.>
'프로그래밍 > C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반복문 (0) | 2018.05.12 |
---|---|
5. 조건문 (0) | 2018.04.24 |
4. 프로그램의 구조와 연산자 (0) | 2018.04.20 |
2. 상수와 변수 (0) | 2018.04.17 |
1. C언어 시작. "Hello world!" (0) | 2018.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