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 언어
- 한국 진출
- 18.04
- 최신 버전
- Bionic Beaver
- 풀이
- S시리즈
- hackerschool
- 새로운 언어
- LDAP
- 사진 화질 개선
- EAPHost
- 컴포넌트
- Kotlin
- Win32 apps
- Challenge
- 딥 러닝
- GDI+
- OSI 7계층
- 해설
- 이미지 화질 개선
- CISCO #TALOS
- RegEnumKeyExA
- Python
- 기초 C
- Win32 #API
- 프로그래밍
- FTZ
- RegEnumKeyA
- C언어
Archives
- Today
- Total
하나 하나 알아가는 프로그래밍
OSI 7계층 (Layer) 본문
네트워크를 공부하기 시작한다면 아마도 가장 먼저 들어보시고 접하실 용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필자 역시 이 모형에 대해서 네트워크를 먼저 배운 선배가 얘기를 해주시면서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OSI 7계층 (OSI 모형)에 대해서 얘기해보기 전에 OSI 7계층이란 용어가 어디서부터 유래된 것인지부터 먼저 알아보면, "OSI 7계층에서 OSI (OSI 모형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위에서 명시된 OSI 7계층 모형이라 칭한다"라고 위키백과에 명시가 되어져 있습니다.
위에 나온 것처럼 국제표준기구인 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현재는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에서 굉장히 자주 언급되어지는 용어입니다.
7계층에서 알 수 있듯 총 7가지의 계층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계층은 수행하는 기능들이 있습니다. 각 기능들에 대해서는 포스팅을 따로 따로 하여 하나씩 세세하게 짚고 넘어가보도록 할 껏입니다. 글을 쓰는 저 역시 학교에서 보안, 네트워크 분야에 대해 수강하고 있는 학생이기 때문에 여러 문헌들에서 내용을 발췌해올 것이며, 쉽게 되도록 이해가 어렵지 않도록 나름대로 정리를 해볼려고 합니다. 아래는 OSI 7계층의 사진을 게재해두니 각 계층에 대한 포스팅을 보기 전 먼저 한번쯤 정리하듯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Fi 6 (0) | 2020.10.06 |
---|---|
TIME_WAIT 상태 (0) | 2020.09.28 |
wpa_supplicant (0) | 2020.09.25 |
EAPHost의 컴포넌트 (구성요소)들 (0) | 2020.09.24 |
OSI 모형 계층 1 : 물리 계층 (0) | 2019.03.10 |
Comments